KOICA 5

ODA사업 초청연수에 대해 알아보자

이번에는 초청연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기술협력(Technical Cooperation)의 일환인 “초청연수사업” 또한 수원국의 자립역량을 강화한다는 점에서 국제개발협력의 중요한 분야로 인식되고 있다. 초청연수사업은 개발도상국 국민을 공여국으로 초청해 연수를 진행함으로써, 선진 사회를 직접 체감하게 하여 개인의 역 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초청연수사업은 개발도상국의 경제 및 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인재를 親공여국 인사로 양성하여, 향후 공여국의 국제적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는 데도 목적을 가지고 있다- 출처 : ODA초청연수사업의 성과지표와 현업적용도 측정 개선방향 연구, 김슬기, 노용석 KOICA 연수사업 형태는 아래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K..

국제개발협력 2024.12.21

국제개발협력 성과관리 분석

이번에는 성과관리(Performance Management) 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 정부의 ODA 예산 확대와 함께 ODA 사업에 참여하는 부처 및 공공기관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며 이들 기관의 성과관리 현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ODA 평가품질과 사업성과를 담보하기 위해서는 객관적, 정량적 평가를 위한 근거기반, 데이터 기반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사업계획 단계부터 기초선조사, 모니터링 등 성과관리 체제가 갖추어져 야한다.- 출처 : 한국 ODA 시행기관의 성과관리 체제에 대한 고찰: 유형별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정지선, 이주영 성과관리는 조직이나 프로젝트가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계획, 실행, 모니터링, 평가, 피드백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과정을 의미한다. 특히..

국제개발협력 2024.12.21

제안요청서(RfP) 분석

오늘은 KOICA 제안요청서 (RfP, Request for Proposal)를 분석하려고 한다.  KOICA 제안요청서는 KOICA 전자조달 홈페이지(https://nebid.koica.go.kr/oep/masc/mainPageForm.do)의 입찰공고에서 쉽게 습득할 수 있다.*글쓴이 제씨킴도 전자조달 홈페이지에서 최근 사업 중에서 골라옴😎 제안요청서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항목설명Ⅰ. 제안 요청내용 1. 용역개요프로젝트의 기본적인 개요, 총 예산, 용역범위2. 기본방향사업목표, 사업대상지, 추진일정3. 세부 과업지침상세 과업내용, 산출물, 전문가 투입내역Ⅱ. 입찰 안내사항1. 입찰 참가자격입찰 참가에 필요한 조건2. 입찰 및 낙찰자 선정방식낙찰자 선정방식3. 입찰 절차입찰 절차의 세부 단계4. 유의..

국제개발협력 2024.11.30

예비조사 결과보고서 분석

오늘은 국제개발협력사업의 예비조사 단계를 알아보려고 한다.  1. 예비조사 개요예비조사는 신규후보사업에 대한 종합적인 타당성을 검토하고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단계로 해당 분야 수원국 현황과 사업수행 여건 조사를 통한 사업 타당성을 분석하고 사업의 구성요소 도출하여 사업기본계획(PDM포함)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예비조사는 n-2년에서 n-1년 1월 전에 실시하여 ‘사업기본계획’이라는 예비조사 산출물을 심사 및 승인 절차를 통과하고 나면 집행계획 수립 및 예산안 편성 심의 절차를 거친다.   2. 예비조사의 과업 및 산출물구분과업산출물1단계 계획 수립 및 자료 분석- PCP 검토 및 분석- 관련 문헌 검토 및 추가 자료조사- 조사계획 수립을 통한 협의 대상자별 협의 안건 및 체크리스트 작성- 이..

국제개발협력 2024.10.05

PCP(Project Concept Paper) 분석

PCP 분석을 하기에 앞서서 국제개발협력에서 PCP(Project Concept Paper)는 어떤 것일까? 1. PCP 개요   PCP(Project Concept Paper)는 신규 사업 요청서로서, 프로젝트를 기획하기 위해서 협력국(수원국)에서 새로운 사업을 제안 및 지원 요청하는 공식적인 문서이다. 협력국에서는 PCP에 해당 프로젝트가 왜 실시되어야 하는지 타당성과 기본적인 정보를 작성해야하며 예상되는 예산도 작성해야한다. - (PCP 접수 경로) 협력국(수원국) 협력 기관 및 해당 부처 → 협력국(수원국) 원조총괄부처 (공식사업요청서+PCP) → 한국대사관     → 한국 정부※ 해당 절차에서 협력국 정부 관계자, 한국 대사관 등 관계 기관과 충분한 협의를 통해 진행되어야 함.   협력국 입장에..

국제개발협력 2024.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