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KOICA 제안요청서 (RfP, Request for Proposal)를 분석하려고 한다.
KOICA 제안요청서는 KOICA 전자조달 홈페이지(https://nebid.koica.go.kr/oep/masc/mainPageForm.do)의 입찰공고에서 쉽게 습득할 수 있다.
*글쓴이 제씨킴도 전자조달 홈페이지에서 최근 사업 중에서 골라옴😎
제안요청서의 구성은 아래와 같다.
항목 | 설명 | |
Ⅰ. 제안 요청내용 | 1. 용역개요 | 프로젝트의 기본적인 개요, 총 예산, 용역범위 |
2. 기본방향 | 사업목표, 사업대상지, 추진일정 | |
3. 세부 과업지침 | 상세 과업내용, 산출물, 전문가 투입내역 | |
Ⅱ. 입찰 안내사항 | 1. 입찰 참가자격 | 입찰 참가에 필요한 조건 |
2. 입찰 및 낙찰자 선정방식 | 낙찰자 선정방식 | |
3. 입찰 절차 | 입찰 절차의 세부 단계 | |
4. 유의사항 | 입찰 시 주의해야할 사항 | |
Ⅲ. 제안서 작성 안내사항 | 1. 일반사항 | 작성 시 준수해야할 일반 사항 |
2. 기술제안서 목차 및 작성지침 | 기술제안서의 목차 및 작성 방법 | |
3. 가격제안서 작성지침 | 가격제안서 작성 시 유의사항 | |
Ⅳ. 평가 안내사항 | 1. 기술평가 안내 | 기술 평가 항목과 평가 기준 |
2. 가격평가 안내 | 가격평가 기준과 방식 |
이번에 제안요청서를 분석할 프로젝트는 "인도네시아 유료도로 교통정보 통합관리시스템 용역" 사업이다.
사업에 대해 빠르게 파악하기 위해 PD에 있는 사업개요서를 먼저 확인했다.
인도네시아의 유료도로는 민간기업 투자로 구축 운영되고 있어 각 운영사별로 관할 구간의 정보만 수집 관리되고 있다고 한다.
이에, 해당 정보의 신뢰성도 없고 민간 정보를 유료로 구매해서 사용해야하여 시민들도 제한된 정보만 알 수 있어 해당 사업이 추진되게 되었다.
이제 제안요청서에서 용역개요 부분을 확인했다.
처음에 눈에 들어왔던 것은 목표 체계에 있는 성과(Outcome)이다.
유료도로의 혼잡구간 파악을 통한 교통사고 및 혼잡도 감소라고 되어 있는데, 교통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은 모니터링을 해서 감소에 도움을 줄 수는 있어도 직접적인 연관성이 있을 것인가에 대해 의문이 들었다.
역시나... 사업개요서의 성과지표도 유료도로상에서 교통사고 사망자수 감소를 지표로 설정해두었다.
혹시 PD에 유료도로로 인해 교통사고나 사망율이 높아진 것에 대한 분석내용이 담겨있을까 했지만, 없었다.
그렇다면 이 내용은 왜 넣은 것인지 알 수 없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유료도로 구간의 혼잡도가 감소됨에 따라 구간별 평균 소요시간 감소율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된다.
물론 전체 지역에서 적용된다면 CO2eq 연도별 지속 감소로도 확인 할 수 있을 지 모르나, 인구도 많고 나라도 큰 인도네시아에서 다른 사업들로 진행될 텐데 "온실가스 배출량이 줄어든다는 것이 이 사업의 영향력이 가장 클 것이다." 라고 판단하기 어려울 것 같다.
제안요청서의 산출물을 확인해보니 아래와 같았다.
여기서 주요한 요소인 유료도로 교통 정보 통합 운영관리 가이드라인 문서의 사업 산출물 형태가 국문/영문본으로 되어 있다. 여기서 의문은 해당 문서는 인도네시아(수원국)에 공유되고 그들이 확인해야하는 문서로 인도네시아어도 있어야 되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되었다. 그리고 Output3.의 유료도로 표준 FTMS 시스템이 국문, 영문, 인도네시아어로 되어 있다.
해당 시스템은 한국사람들이 사용할 것이 아니기에 국문까지는 필요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이후 제안요청서의 내용은 입찰참가 자격요건을 위한 상세 설명이 있다.
입찰참가를 위한 업종코드가 등록이 되어 있는지,
해당 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공동이행 또는 분담이행으로 진행할 필요가 있는지,
전문가 투입인력 자격요건은 갖추었는지,
회사의 유사사업 수행실적은 얼마나 되는지,
가산점을 받을 수 있는 요소가 있는지,
입찰 신청 서류(신용평가등급, 법인등기부등본, 경쟁입찰참가등록증 등)는 준비가 되었는지,
입찰참가를 위해서는 제안요청서 내용을 꼼꼼하게 확인해서 준비할 필요가 있다. 👍
오늘 분석했던 제안요청서는 설정되어있는 성과 내용에 의문이 있었으니 입찰에 참가한 업체가 수정한 PDM을 제안하며, 보완을 했을 수도 있을 것 같다.
'국제개발협력' 카테고리의 다른 글
ODA사업 초청연수에 대해 알아보자 (2) | 2024.12.21 |
---|---|
국제개발협력 성과관리 분석 (1) | 2024.12.21 |
심층기획조사 집행계획보고서 분석 (2) | 2024.11.08 |
예비조사 결과보고서 분석 (1) | 2024.10.05 |
PCP(Project Concept Paper) 분석 (2) | 2024.09.21 |